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화성시문화재단, 프랑스 몽펠리에 市 한국문화예술축제 참여

화성시 고유 문화콘텐츠 ‘영우원 천장‘ 최초 창작 공연 및 맥간 공예 등 문화교류 일환
화성시 국제문화교류 선도 기대

 

(재)화성시문화재단(대표이사 이종원)이 프랑스 몽펠리에市와 협업한 2021 「지역문화 국제교류 기획지원」 사업(문화체육관광부/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후원)을 성황리에 마쳤다.

 

지역문화 국제교류 지원 사업은 기초지자체와 민간 문화예술 단체가 협력해 지역 고유의 유·무형 문화자원 기반의 국제교류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2021년 화성시문화재단은 프랑스 남부 몽펠리에 市의 한국문화예술축제 <꼬레디시(Corée d’ici : 여기에 한국이 있다) 페스티벌>을 통해 창작 무용과 지역 전통문화 키트를 교류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했다.

 

 

화성시문화재단과 꼬레디시(Corée d’ici)의 교류를 위한 창작 공연은 화성시 고유의 역사자원인 융·건릉에서 개최되는 ‘정조 효 문화제’의 대표 콘텐츠 <*영우원 천장>을 수원대 박영란 음악감독의 창작곡으로 현대적 재해석하였다. 아버지인 사도세자에 대한 정조대왕의 효심을 표현하는 창작 무용을 화성시 지역예술인 및 시민은 화성시에서, 프랑스 몽펠리에의 지역 예술인은 남프랑스에서 각각 실연했고, 실연 영상을 <제 7회 꼬레디시 페스티벌>이 진행 중인 11/20~21일(현지시각) 프랑스 현지 관객 600명을 대상으로 상영하였다.

 

 

또한 페스티벌 기간 중 몽펠리에 시민들은 화성시 지역전통공예사업 육성을 통한 화성시공예문화관의 맥간 공예 키트를 체험할 수 있었다. 고려시대 돌아가신 부모님께 금관을 만들어 드리려 황금빛 보릿대를 펴서 관을 덮듯이 감싸 붙였던 것에서 시작된 맥간 공예는, 효를 주제로 한 이번 국제교류 사업과도 결을 함께 하며 현지 참여한 시민과 학생들에게 새로운 예술 활동으로 다가갔다.

 

 

화성시문화재단 이종원 대표는 “프랑스의 젊은 도시 몽펠리에와 한국의 젊은 도시 화성시의 만남은 앞으로가 더욱 기대된다. 온/오프라인으로 진행된 이번 국제교류를 계기로 우리 화성시와 한국의 역사, 고유 문화 콘텐츠가 세계 시민들에게 더욱 각인되리라 생각한다.”며, “화성시민 나아가서 세계시민이 공감하고 가치를 공유할 수 있을 화성시 고유의 문화콘텐츠 발굴에 앞으로 더욱 힘써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영우원(永祐園) 천장(遷葬) : 1789년 정조대왕이 현 동대문구 배봉산에 위치한 사도세자의 묘(영우원)를 현 화성시 융건릉으로 이장한 것

기자정보


기획

더보기
이권재 오산시장 오산을 “확” 바꾸어 50만 자족도시 실현 의지 밝혀.!!
이권재 오산시장이 오늘 7월 2일 14시 오색문화 체육센터 2층 다목적실에서 민선8기 지난 3년간 시정 발전을 위해 활동한 내용에 대한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날 이 시장은 취임 3주년 기자회견에서 시민과의 약속이라는 소중한 결실을 맺기위해 1,300여 공직자들과 머리를 맞대며 불가능이란 없다는 생각으로 끊임없이 해결책을 만들고자 무단히 노력하며, 고군분투 했다고 밝혔다. 그 결과 오산시는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주관 전국 기초단체장 공약 이행 및 정보공개 평가에서 최고등급인 에스에이 (SA) 등급을 2년 연속 획득했으며, 279개 사업에서 1,432억 원 규모의 국·도비 등의 정부예산을 확보했다. 고 밝혔다. 이 시장은 "인구 50만 자족형 커넥트시티 조성 계획은 단지 인구만 늘리겠다는 정책이 아니다.라며 주거와 일자리가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교통,산업,복지,문화가 유기적으로 순환하며 삶의 흐름이 끊기지 않고, 이어지는 도시를 만들겠다는 구상이 바로 인구 50만 자족형 커넥트시티 조성"이라고 강조하며, 앞으로 50만 자족시대를 구체화하기 위한 핵심축으로 '세교3지구 개발'을 꼽았다. 또한 세교3지구는 지난 2023년 11월 국토교통부가 공공주택지구로 지정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