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5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미국 해외참전용사협회(VFW), 한미동맹 상징...오산시 유엔군 초전기념관 방문

동아시아 순방 중 오산 찾은 미국 참전용사들…한·미 우정 뿌리를 되새기다

 

(케이엠뉴스) 오산시는 지난 3월 29일, 미국 해외참전용사협회(VFW) 대표단이 오산 유엔군 초전기념관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이번 방문은 오산시가 추진해 온 ‘죽미령 전투 기억 사업’의 국제적 의미를 되새기고, 한미동맹의 우호 관계를 재확인하는 뜻깊은 자리였다.

 

미국 해외참전용사협회(VFN)는 1899년에 참전 용사들의 권리를 위해 설립된 협회로, 현재 약 140만 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

 

기념관을 찾은 참전용사 대표단은 미국 해외참전용사협회(VFW) 팀 피터스 부사령관(Tim Peters, Junior Vice Commander-in-Chief)의 동아시아 순방 일정의 일환으로 방한했다. 한국지부 사령관 데이비드 글레이(David B. Gley, JR. Commander, District Ⅲ, South Korea)와 미 공군재향군인회 전 사령관 어니스트 리(Ernest W. Lee) 등 총 7명으로 구성됐다.

 

특히 어니스트 리는 지난해 자신이 소장하던 트루퍼 햇과 한국전 당시 영상 기록 등 유물 2점을 기념관에 기증한 인물로, 이번 방문은 남다른 의미를 더했다.

 

오산시가 2013년 개관한 유엔군 초전기념관은 1950년 7월 5일, 오산 죽미령에서 벌어진 ‘스미스 부대 전투’의 의미를 기리고자 조성된 곳이다. 이 전투는 유엔군이 처음으로 한국전쟁에 지상군을 투입한 사례로, 미8군 24사단 21연대 소속 540명이 북한군 5천여 명과 맞서 싸우며 역사적인 희생을 남겼다.

 

오산시는 2010년부터 죽미령 전투의 가치를 되살리는 사업을 지속해왔으며, 현재 기념관은 평화·안보 교육의 장이자 한미동맹의 산 교육장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기념관을 둘러본 피터스 부사령관은 “기념관은 단순한 전시 공간을 넘어, 한미 양국의 희생과 우정을 기억하게 하는 소중한 장소”라며 “이곳에서 만난 어린아이들의 ‘고맙다’는 인사는 평생 잊지 못할 감동”이라고 전했다.

 

오산시 관계자는 “기념관은 단순한 과거의 기록이 아닌, 평화를 지키는 현재의 공간”이라며 “참전국의 숭고한 희생을 기억하고, 미래세대에 평화의 가치를 전하는 데 오산시가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기획

더보기

화성특례시, '누구나돌봄' 방문의료서비스 시범사업으로 의료사각지대 해소 기대
(케이엠뉴스) 화성특례시는 8월부터 거동이 불편한 시민을 위한 ‘누구나 돌봄’ 방문의료서비스 시범사업을 시작한다. 이번 사업은 병원 이용이 어려운 시민들에게 기본적인 의료 접근성을 보장하고자 마련됐으며, 협약기관으로는 보건한의원, 홈케어의원, 화성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모두의원 등 3개 기관이 참여한다. ‘누구나 돌봄’은 경기도와 도내 29개 시·군이 함께 추진 중인 통합돌봄 사업으로, 화성시는 2024년부터 참여해 ▲생활돌봄 ▲동행돌봄 ▲주거안전 ▲식사지원 ▲일시보호 등 5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방문의료서비스는 새로운 돌봄 분야로서, 올해 하반기부터 화성시에서 시범 운영된다. 방문의료서비스는 의료적 처치가 필요하지만 거동이 어려워 병원 이용에 제약이 있는 시민을 대상으로, 의료진이 직접 가정을 방문해 간단한 진료와 건강 상태 확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용 금액은 중위소득에 따라 차등 지원되며, 대상자 1인당 60일 이내 월 2회, 최대 15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은 “이번 시범사업은 고령자 등 돌봄 사각지대에 놓인 시민들이 의료 서비스에서 소외되지 않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