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회

광주시, '2024년 사회조사' 결과 발표… 시민 삶의 질과 정책 방향 제시

 

(케이엠뉴스) 광주시는 지난해 8월 29일부터 9월 12일까지 지역 내 표본 810가구의 15세 이상 가구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광주시 사회조사’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시민의 사회적 관심사와 주관적 의식을 파악하고 주요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진행됐으며 조사 항목은 ▲가족·가구 ▲환경 ▲보건 ▲사회통합과 공동체 ▲안전 ▲시 특성 항목 등 총 6개 분야, 55개 항목으로 구성됐다.

 

조사 결과, 지역 만족도는 10점 만점 기준으로 2023년 5.3점에서 지난해 5.6점으로 상승했다. 광주시에 거주 또는 전입한 주요 이유로는 ▲‘주택 마련 및 저렴한 주택 시세’(28.1%) ▲‘오래전부터 살아와서’(23.8%) ▲‘직장(사업) 및 취업’(19.6%)이 꼽혔다.

 

향후 5년간 광주시에 계속 거주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은 59.3%로 나타났으며 거주 의향이 없는 이유로는 ‘교통 문제’(35.4%)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또한, 광주시민 중 5년 이내 출산계획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2022년 7.5%에서 지난해 8.4%로 증가했다. 필요한 출산 지원 정책으로는 ▲‘보육비 및 교육비 지원’(26.5%) ▲‘출산장려금 지원’(26.1%) ▲‘육아 휴직제 확대 등 제도 개선’(24.7%)이 주요 항목으로 조사됐다.

 

보육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보육비 지원 금액 확대’(33.2%) ▲‘보육비 지원 대상 확대’(19.2%) ▲‘보육시설 확충 및 환경 개선’(14.3%) 등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 밖에도 광주시민들은 광주시가 미래에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삶의 질이 높아지는 복지 도시’(38.3%), ‘교통이 편리한 도시’(36.7%), ‘재해와 범죄로부터 안전한 도시’(14.6%)를 선택했다.

 

필요한 문화시설로는 ▲‘백화점 등 쇼핑센터’(37%)와 ▲‘공용운동장, 수영장 및 체육시설’(26.7%)을 가장 많이 꼽아 쇼핑과 체육활동에 대한 시민들의 높은 요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시 관계자는 “이번 사회조사 결과를 통해 시민들의 사회적 관심사와 삶의 질 수준, 사회 변화를 면밀히 파악할 수 있었다”며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시정 정책을 수립하고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기획

더보기
김영희 의원, 오산 가수초 ‘급식실 환경개선 방안’ 논의 !!
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 김영희 의원(더불어민주당, 오산1)은 지난 3일 오산 가수초등학교를 방문해 급식실 환경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오산 가수초등학교는 24개 학급에 540여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며,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지난해부터 자율선택급식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조리실 진출입로에 설치된 경사로 구조로 인해 급식종사자들이 물품 및 급식 이동에 큰 불편을 겪고 있으며 안전사고 우려도 높은 상황이다. 윤주영 가수초등학교 교장은 “인근 공동주택 개발로 인해 학교 증축 여부가 내년에 결정될 예정으로 장기적으로는 급식실 현대화를 추진하겠지만, 그 이전에 급식실의 경사로 개선 등 당장의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고 설명하며, 학교 현장의 현실을 반영한 조속한 조치를 요청했다. 이에 김영희 의원은 “생일날 잘 먹자고 굶는 격이라는 말처럼, 먼 미래의 증축만 기다리며 당장의 문제를 외면해서는 안 된다”며, “급식실 경사로 개선과 조리 인력 증원 등 현실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현장에서는 학구 조정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현재 일부 학생들은 생활권과 맞지 않는 학구로 인해 대중교통을 이용해 장거리 통학을 하고 있는 실정으로, 학생 안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