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엠뉴스) 용인특례시는 여성의 경제활동 지원과 지역사회 내 안전망 강화를 위해 여성친화도시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민‧관 협의체 회의를 잇달아 개최했다고 1일 밝혔다.
시는 30일 시청 별관 회의실에서 디지털 성범죄와 교제폭력, 스토킹 등에 대응하기 위한 ‘여성친화도시 안전 협의체’ 회의를 용인동부‧서부경찰서, 성폭력상담소, 가정상담센터, 청소년성문화센터, 시민참여단 등 관계자 총 15명이 참여한 가운데 개최했다.
회의에서는 최근 급증하는 딥페이크 성범죄, 교제 폭력・스토킹 등 젠더 기반 범죄의 현황과 사업을 공유하고, ▲젠더폭력 피해자 보호 시스템 강화 ▲유관기관 간 공동대응 체계 구축 ▲폭력 예방 및 근절을 위한 캠페인 등을 논의했다.
시는 특히 여성안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시가 추진 중인 ▲스토킹・교제폭력 피해 지원 ▲여성안심 패키지 및 비상벨 사업의 효과성 제고 방안을 논의하고, 각 기관이 현장에서 마주하는 과제들을 중심으로 협력 기반을 강화할 예정이다.
시는 앞서 23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2025년 여성 일자리‧경제 협의체’ 제1차 회의를 열고, 고학력 여성의 재취업 활성화, 경력단절 예방, 돌봄 일자리 확대 등 실효성 있는 정책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용인여성새로일하기센터, 여성인력개발센터, 용인시가족센터, 여성창업협동조합, 시민참여단 등 관계자 15명이 참석했으며, 시가 추진 중인 경력 보유 여성 지원 사업과 돌봄 환경 조성을 위한 사업 등을 중심으로 기관 간 역할 분담과 연계 협력 방안을 공유했다.
일부 참석자들은 “여성의 경력단절은 생애주기별로 반복되는 구조적 문제로, 이를 단계별로 진단하고 지역 특성에 맞춘 연계 방안이 필요하다”면서, “특히 지역 여건을 고려해 일·돌봄이 공존하는 융합 공간 조성, 고부가가치 여성 창업 실험, 생애 전환기에 대응하는 경력 전환 모델 개발 등을 주요 과제로 제안한다”고 말했다.
시는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각 기관과 업무협약을 추진하고, 6월 중 실무 간담회를 통해 정책 연계 방안을 구체화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협의체 회의들은 여성의 삶에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민‧관 거버넌스의 출발점”이라며 “다양한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고,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여성친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