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0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정치

안성시의회 의원님,사무과직원들 이런 걸 배우려고 2박 3일간 제주도로 간 것일까~?

역량교육 대행업체(한국 지방자치 학술연구원)의 얄팍한 상술에 안성시의회가 넘어간 것 아니냐? 강하게 반문, 안성시의회는 시민의 혈세 (1,500만원) 사용 내역을 상세히 밝혀라.

2보

안성시의회는 의원 8명,  사무과장 포함 13명의 직원, 장애인 보호자 1명, 모두  22명이 지난 10월 05일(수) ~ 10월 7일(금)까지 2박 3일간의 연수일정으로 제주도에 다녀왔다. 연수의 제목은 “의원 및 공무원 전문성 역량 강화교육”이었다.

  

하지만 전문성 역량 강화교육이라는 문구가 무색하게 일부 의원님과 사무직원은 교육 도중 밖으로 나와 금연 건물에서 담배를 피우는 등 교육에는 전혀 관심이 없는 듯 해 보였다.

 

 

한편 연수대행업체(한국지방학술연구원)도 교육 도중 밖으로 나와 담배를 피우는 등 잡담을 하는데도 아무런 제재를 하지 않았다.

  

연수대행업체(한국지방자치학술연구원) 가 안성시의회에 제시한 (예시) 교육일정표는 1일차 2명의 교수가 2시간씩 4시간(240분)의 교육,  3일차 2명의 교수가 3시간(180분)의 교육을 한다고 명시되어 있었다. 3일차에 2명의 교수가 3시간의 교육을 한다면 1시간 반의 교육을 하기 위해 교수들이 비행기타고 제주도까지 오는가 의심이 가는 일정이었다. 다수의 의회들은 한 교수에게 3시간의 강의를 맡기는게 보통이기 때문이다.

  

기자의 취재결과 실제 교육은 무슨 이유에서인지 1일차 3시간(180분) 3일차 1시간 30분(150분)으로 변경되어 안성시 의원들에게 출발 3~4일 전에 전달되었다고 한다. 실제 제안서와는 사뭇 다른 변경내용이었다. 애초엔 7시간에 교수가 4명이었는데 불과 3일전에 강의시간이 4시간 반으로 줄어있었다. 한명의 교수가 소화할 수 있는 강의시간이다. 안성시의회는 이 교육변경안에 항의를 했을까? 오히려 좋아했을까? 궁금한 부분이다.

  

이에 본 취재진은 안성시의회 의정 팀장 K씨에게 일정이 변경된 이유를 묻고자 의회 사무실을 찾아가 대화를 나누었는데 홍보팀장 L씨가 취재진에게 양해를 구하지도 않고 테이블에 불편한 자세로 앉아 대화를 방해하는 등 몰상식한 태도까지 보였다.

  

이 사실을 전해 들은 시민 L씨(64세)는 ‘안성시의회가 교육받으러 간다면서 교육시간은 줄이고 관광을 늘린 것 아니냐, 해마다 공부를 왜 꼭 제주도에서 해야 하는가’하며 분통을 터뜨렸다.

  

또 한 시민 G씨(52세)는 ‘강사료는 제대로 챙기고 교육시간을 줄인 연수대행업체(한국 지방자치학술연구원)의 얄팍한 상술에 안성시의회가 넘어간 것 아니냐’고 강하게 반문하며 ‘강사는 몇 명이었는지 교육시간은 왜 줄였는지 안성시의회는 시민의 혈세 (1,500만원) 사용 내역을 상세히 밝혀야된다’ 고 말하였다


기획

더보기

정명근 대한민국특례시시장협의회장, 국정기획위원회에 ‘특례시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 촉구 건의
(케이엠뉴스) 대한민국특례시시장협의회(대표회장 정명근 화성특례시장)가 대통령직속 국정기획위원회(위원장 이한주) 정치행정분과(분과장 이해식) 요청으로 9일 14시 정책간담회에 참석했다. 간담회에는 정명근 화성특례시장(특례시시장협의회 대표회장), 이재준 수원특례시장,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이 참석하여 특례시의 법적지위와 실질적인 행․재정 특례 이양을 위해『특례시지원특별법(안)』의 신속한 제정을 촉구하는 건의문을 전달했다. 대한민국특례시시장협의회 명의로 전달된 건의문에는 ▲국회에서 발의한 ‘지방자치법’ 개정(안) 처리, ‘특례시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으로 특례시 법적 지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 ▲광역시 수준의 행정 기능을 수행하는 특례시가 재정적으로 안정적 운영을 할 수 있도록 조정교부금 조성 재원과 징수교부금 교부율 확대·상향 ▲특례시에 대한 실질적이고 실효성 있는 사무를 적극적으로 발굴·이양 등의 내용이 담겼다. 협의회는 “특례시는 단순한 도시 규모의 확대를 넘어, 행정·재정의 실질적 자율권이 부여되어야 한다”며 “더 나아가 인구소멸지역과의 지역 간 상생협력지원을 5개 특례시와 함께 할 수 있도록 지원해달라”고